공군 제 6탐색구조전대 HH-32, HH-47, HH-60 탐색구조헬기 등 혹한기 구조작전 훈련
“전달! 전달! 전달! 13시 30분 부 스크램블(긴급발진) 발령! 사유 탐색구조!”
동장군이 맹위를 떨치는 2월 3일(금), 공군은 충북 진천군 소재 초평저수지에서 항공구조사의 임무수행 능력 극대화를 위한 혹한기 구조작전 훈련을 실시했다. 훈련에는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항공구조사 40여 명과 HH-32, HH-47, HH-60 탐색구조헬기가 각각 1대씩 참가했다.
훈련은 겨울철 얼어붙은 강이나 호수에 조난된 조종사를 구조하는 상황을 구조헬기에 탑승해 신속히 출동했다. 겨울철 영하의 온도 속 얼음물에 빠졌을 때 조난자의 생존시간은 단 15분에 불과해, 조금이라도 시간이 지체될 경우 조난자가 저체온증에 빠져 위태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.
조난현장에 도착한 항공구조사들은 조난자의 위치를 확인한 뒤 한 치의 망설임 없이 차가운 얼음물 속으로 뛰어들었다. 수중에 투입된 이들은 신속하게 조난자의 상태를 확인한 후 헬기 조종사에게 수신호로 상황을 알렸다. 이어 탐색구조헬기가 낮은 고도로 수상에 접근해 구조용 인양기(HOIST)를 내리고 고리, 바스켓, 들것 등 각종 구조장비로 조난자를 구조했다. 이후 항공구조사들은 기내에서 조난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응급처치를 시행하면서 공군 항공우주의료원으로 안전하게 후송하며 훈련을 마무리했다.
공군 항공구조사(SART : Special Air Rescue Team)는 전시 작전 중 조난된 조종사를 구조하기 위해 적진에 투입되는 특수요원이다. 이들은 사격, 공중침투(고공강하), 산악등반, 수상/수중 침투(스쿠버), 응급의료 등 특수작전에 필요한 거의 모든 능력을 갖춰야 하며, 이를 위해 총 1년의 훈련과정을 거친다.
평시에는 항공기 사고구조, 환자 응급처치 및 후송, 각종 재해ㆍ재난 시 대민지원 등 임무를 수행한다. 특히, 지난해 3월 경상북도 울진 및 강원도 삼척, 강릉 지역의 대규모 산불 진화 작전과 9월 포항 힌남노 태풍피해 지역 인명구조 작전에도 투입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기여했다.
이번 훈련에 참가한 공군 항공구조사 이수명 상사는 “극한의 상황에서도 구조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평소 끊임없이 훈련에 임하고 있다”며, “‘반드시 구조한다’는 항공구조사의 임무 구호처럼,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조난된 조종사와 전우는 우리가 구하러 간다는 믿음을 주고 싶다”고 다짐했다.
-
범주
댓글이 없습니다.